저자는 기후변화가 대홍수로 세상을 쓸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약한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형태로 먼저 나타난다고 강조한다. “대멸종보다 훨씬 작은 충격으로도 많은 이웃을 잃을 수 있고, 그것을 막아내고자 애쓰는 것이 사람의 삶”이라는 것이다.
때문에 저자는 비관론을 반복하거나 막연하게 자연에 이로울 것 같은 행동을 할 것이 아니라, 당장의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무엇이 이롭고 이롭지 않은지 이해를 바탕으로 행동할 것을 제언한다. 매일 종이컵을 사용하는 사람이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되 1년에 한 번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사람보다 기후에 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단적이 예다. 우리의 실천이 실제로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이는지 계산과 판단이 필요하며,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정부와 사회에 요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.
나아가 저자는 오늘날 그 어떤 영역도 기후변화와 무관하지 않음을 환기한다. 기후 위기에 가장 취약한 계층을 위해 냉난방기를 설치해주는 것이 오히려 기후 대응의 일환일 수 있으며, 더 정확한 기상예보를 위해서는 관련 업종의 업무 환경 개선도 필요하다는 등 넓은 시각에서 재고해봐야 할 지점들을 다양하게 다뤘다. 더워지는 세계 속, 우리와 우리의 이웃을 위해 기후변화 문제를 이해하고 행동하는 ‘기후 시민’들에게 필요한 21세기 기후 교양이다.